[IT 소식] 증강현실, AR
어느새 우리나라 스마트폰의 보급도 대부분 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길을 가면서 인터넷을 하고, 지도를 보고, 주변의 소식을 실시간으로 듣고, 주요 뉴스를 들을 수 있는 시대이다.
이런 기술도 놀라울 따름인데, 여러 IT업계에서는 더 나아가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바로, 증강 현실 기술이다.
단어는 생소할지 모르겠지만 누구든 한번 보면, '어 이 기술 어디서 본 거 같은데?!'라는 생각을 할 수 있을 거 같다.
혹시 영화 '아이언맨'을 보셨는가.
아이언맨의 주인공 토니 스타크는 그의 수트에 '가비스'라는 인공지능 컴퓨터를 탑재했는데, 이게 바로 대표적인 증강현실 기술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의 수트 안에서 본 장면, 여러가지 홀로그램이 떠 있는 화면을 볼 수 있다. 이게 바로 '증강 현실'기술이다.
가상 현실(virtual reality)이라는 말은 많이 접해 보았을지 모르겠다.
다만,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라는 말은 생소한 사람도 있을 것 같다.
비슷한 말이지만 의미하는 바에서는 약간 차이가 있다.
증강 현실을 소개하기에 앞서, 가상 현실과 증강 현실의 차이점을 알아보자.
가상 현실(VR) = 증강 현실(AR)?
간단히 말해, 가상 현실은 자신과 배경·환경 모두 현실이 아닌 가상의 이미지를 사용하는데 반해, 증강 현실은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대표적인 영화 '매트릭스'를 보자. '매트릭스'에서 실제 현실은 기계와 전쟁중인 미래이다. 하지만, 기계들은 '매트릭스'라는 가상 현실을 구축하고 그곳에 인간의 의식을 담아 속박해 놓는다. 그리고, 인간들은 그곳이 마치 '현실'인 것 처럼 느낀다. 이처럼 가상 현실은 전부가 가상인, 의미 그대로 가짜의 세계이다.
증강현실(AR)이란?
일종의 가상 현실 기술의 한 분야라고도 볼 수 있으나, 실제의 배경에 가상의 이미지를 덧입혀 표현하는 기술이다. 그래서 마치 가상의 이미지가 현실에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술들로, 현실 세계에 가상의 정보를 합성하여 현실에서는 얻기 힘든 어려운 부가적인 정보(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가격정보 등)을 쉽게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상당히 높다. 또한 다양한 현실환경에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대가 큰 미래기술 중 하나이며, 가장 현실화 될 가능성이 높은 기술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증강 현실>이라는 말은 로널드 아즈마에 의해 정의 되었는데, 다음 세가지 정의를 통해 알 수 있다.
1. 현실(Real-world elements)의 이미지와 가상의 이미지를 결합한 것.
2. 실시간으로 인터랙션(interaction)이 가능한 것.
3. 3차원의 공간 안에 놓인 것.
위 사진은 영화 '아이언맨'에서의 한 장면으로, 뒤가 비치는 투명한 휴대폰이다. 이 투명 디스플레이 기술은 증강 현실의 핵심 기술이라고 할 수 있겠다.
현재 증강 현실 기술의 대표주자는 구글이다. 구글에서는 현재 Project Glass라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데, 안경과 같은 착용제품을 통해 증강현실을 구현하려고 하고 있다.
아래는 Project Glass의 예시 영상이다.
영화 속에서만 보던 기술인 것 같은가?
머지 않아 현실 생활에서도 볼 수 있을 제품이다. 많은 기술자들이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상용화도 머지 않아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증강 현실의 대중화
사실, 위에서 소개한 구글의 웨어러블 컴퓨터를 이용한 증강 현실의 경우 곧바로 대중화는 어렵겠지만, 의외로 지금도 증강 현실 기술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렇게 증강 현실이 대중화 될 수 있었던 데는 스마트폰이 큰 역할을 했다.
실제로 지난 18대 대선, 문재인 후보는 스마트폰 AR기술을 이용한 '서커스AR'이라는 어플을 이용해 홍보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자동차, 전투기등에서도 흔히 사용되는 HUD 디스플레이도 예를 들 수 있겠다.
보이듯이, 증강 현실 기술은 이미 우리 삶과도 밀접하게 연관이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만큼 앞으로 발전 가능성도 크고 기대가 큰 기술이기도 하다.
얼마 안 있어 모두가 스마트폰 대신 웨어러블 컴퓨터를 이용해 홀로그램을 이용하는 시대가 올지도 모르겠다.